[5·18/광주학생운동]
4·19민주혁명 역사관
좋아요 53
[5·18/광주학생운동]
4·19민주혁명 역사관
‘4·19민주혁명 역사관’은 초·중·고 학생들의 역사문화체험학습 공간으로 운영된다. 특히 정의와 자유,평화로 상징되는4·19민주이념을 학생들이 잘 체험할 수 있도록 전시 공간을 조...
‘4·19민주혁명 역사관’은 초·중·고 학생들의 역사문화체험학습 공간으로 운영된다. 특히 정의와 자유,평화로 상징되는4·19민주이념을 학생들이 잘 체험할 수 있도록 전시 공간을 조성했다. 상설전시관의 바닥은4·19민주혁명 당시의 신문기사들로 꾸몄다. 입구 정면은 광주4·19혁명 최초로 광주고 학생들이 교문을 박차고 나와 구호를 외치는 모습을 담은 사진을 확대 전시했다. ‘광주4·19,그 날의 일들’을 주제로 묶인 전시에는 광주4·19혁명 전개 과정을 시간대별로 게시했다. 3·15장송시위부터 이홍길 하숙집 모의,광주교 교장실 대치,타종,광주고 교문 돌파,시내시위,경찰 발포의 과정이 생생하게 담겼다. 또 광주4·19혁명 주역들인 이병열,김영용,윤승웅 씨 등의 증언도 함께 전시한다.
좋아요 53
[5·18/광주학생운동]
5·18민주화운동기록관
좋아요 89
[5·18/광주학생운동]
5·18민주화운동기록관
광주광역시에서는 세계기록유산 소장기관으로 인류의 공동유산인 5·18민주화운동 기록유산을 체계적으로 수집하여 영구보존하고 5·18의 역사적 의미를 세계인들과 함께 공유하기 위해 5·...
광주광역시에서는 세계기록유산 소장기관으로 인류의 공동유산인 5·18민주화운동 기록유산을 체계적으로 수집하여 영구보존하고 5·18의 역사적 의미를 세계인들과 함께 공유하기 위해 5·18민주화운동기록관을 설립하였습니다. 1980년 5월 역사적 현장이었던 옛 광주가톨릭센터에 자리한 5·18민주화운동기록관에는 그동안 여러 곳에 흩어져 있던 5·18기록물들이 체계적으로 수집·보관되어 있습니다. 5·18의 발발과 진압을 비롯한 원천자료에서부터 문서, 음향, 구술, 학술, 문화적 재현물, 정부기관과 군사사법기관의 자료,시민들의 기록과 증언, 기자들의 사진과 취재수첩, 피해자들의 병원진료 기록 등 4천2백여 권, 86만 페이지, 사진 필름 3천7백여 컷에 달하는 등재 기록물이 수장고에 영구 보존되어 있습니다. 해설시간 : 10:00, 11:00, 14:00, 15:00, 16:30 (단체 예약 062-613-8204
좋아요 89
[5·18/광주학생운동]
광주 3.1 만세운동 기념비
좋아요 24
[5·18/광주학생운동]
광주 3.1 만세운동 기념비
광주는 일제강점기 시절 광주학생운동을 시작으로 다양한 독립운동이 펼쳐진 고장이다. 이러한 고장에서 3·1 만세운동이 벌어진 것은 당연한 결과이다. 이러한 광주지역의 3·1 만세운동...
광주는 일제강점기 시절 광주학생운동을 시작으로 다양한 독립운동이 펼쳐진 고장이다. 이러한 고장에서 3·1 만세운동이 벌어진 것은 당연한 결과이다. 이러한 광주지역의 3·1 만세운동을 기념하고 당시의 넋을 기리기 위해 만들어진 것이 “광주 3.1 만세운동 기념비”이다. 1995년 5월 10일에 건립한 이 기념비는 양림동 256번지 수피아여고 후문 안에 자리 잡고 있다. 앞면에는 "광주 3·1 만세운동 기념"이라고 새겨져 있고, 뒷면은 1919년 3월 10일 광주 3·1 만세운동에 앞장섰기 때문에 옥고를 치른 수피아 학생들의 이름을 새겨 길이 기념하고자 했다. * 당시의 넋을 기리는 기념비의 추모시 * 기념비에는 박순애, 이태옥, 김양순, 윤혈녀, 김덕순, 조옥희, 이금봉, 하영자, 강화선, 이라혈, 최수향, 김만순, 홍순해 등 23명의 명단이 새겨져 있으며, 옆면은 "역사의 별이 되어" 라는 추모시가 다음과 같이 새겨져 있다.천추에 이름 석자 누구나 남기는가, 기미년 3·1 운동 선두에 서서 구국의 일념으로 충성을 맹세하고 태극기 앞에 두고서 독립만세를 외쳤네. 일제의 총칼 앞에 나라가 침탈 당하자 자유 없는 속박에서 사느니보다 사슬을 끊기 위해 목숨 걸고 싸웠네. 모진 고문을 당하여도 이겨낸 고결한 애국 얼이 역사의 별이 되어 무궁토록 빛나네. * 규 모: 넓이 4㎡ 길이 7m * 형 상: 3·1 운동 때 여학생들이 태극기를 들고 만세를 부르고 있는 형상 <출처: 한국관광공사>
좋아요 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