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문화]
광주광산문화원
좋아요 7
[전통문화]
광주광산문화원
광산문화원은 1965년 2월 25일 창립된 역사와 전통을 자랑하는 문화원이다. 광주광역시 전체면적의 46%에 해당하는 광산구는 광주광역시의 역사와 궤를 같이하고 있을뿐만 아니라 천...
광산문화원은 1965년 2월 25일 창립된 역사와 전통을 자랑하는 문화원이다. 광주광역시 전체면적의 46%에 해당하는 광산구는 광주광역시의 역사와 궤를 같이하고 있을뿐만 아니라 천혜의 경관으로 도시와 농촌이 잘 어우러진 아름다운 곳이다. 광산문화원은 이러한 지리적 여건과 역사성을 살려 지역문화 창달에 앞장서고 있다. 광산문화원의 대표적인 사업으로는 향토사연구를 비롯하여, 민족애국시인인 용아 박용철 전국백일장, 어등미술대전, 문화학교를 운영하고 있다 * 문화사업 * 광산문화원에서는 각계각층의 지역주민의 참여를 기반으로 문화예술교육을 통한 건전한 여가문화 활성화를 위한 문화학교를 운영 중에 있다. 노래, 재즈, 요가, POP, 문학기행 등의 강좌를 운영하고 있으며, 도자기 체험 등 주말가족프로그램도 운영하고 있다. 또한 평소 문학에 관심이 많은 분들에게 자기개발과 자아성취의 장을 마련하고, 문학에 소질이 있는 숨은 인재를 발굴하여 지역문화발전에 기여하고자 용아 박용철 전국백일장을 개최한다 이외에도 방학기간이나 주말에 가족과 함께하는 전통문화체험(한지공예교실, 도자기현장체험교실)을 함으로써 우리전통문화에 대한 이해와 가치관을 함양시키는 전통예술학교를 운영 중이며, 광산지역의 유래, 전설, 인물 등의 향토자료를 조사하는 어등의 맥 사업도 진행 중이다. <출처: 한국관광공사>
좋아요 7
[전통문화]
광주광역시 남구문화원
좋아요 4
[전통문화]
광주광역시 남구문화원
우리는 문화가 모든 힘의 원천인 문화의 시대에 살고 있다. 또한, 국민소득증대와 주 5일 근무제가 확산됨에 따라 여가문화의 효율성 증대가 관심사로 부각되고 있다. 이러한 시대에 흐...
우리는 문화가 모든 힘의 원천인 문화의 시대에 살고 있다. 또한, 국민소득증대와 주 5일 근무제가 확산됨에 따라 여가문화의 효율성 증대가 관심사로 부각되고 있다. 이러한 시대에 흐름에 발맞추어 지역의 전통문화와 역사를 전승하고 발전시키기 위해 만들어진 것이 광주 남구문화원이다. 1999년 3월 24일 설립된 남구문화원은 지식과 정보, 그리고 문화적 창조력이 지역 발전, 나아가서는 국가 발전의 원동력이 된다는 의식으로 주변의 다양한 문화와 교류하며 우리 문화를 창조적으로 발전시키기 위해 최선을 다하고 있다. * 주요 사업 * 지역문화 발전과 시민을 위한 문화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우선 지역 주민을 위한 문화 프로그램으로는 단소반, 대금반, 장구반, 꽃꽂이반, 숯공예반, 한지공예반, 노래교실 등의 다양한 문화교실을 들 수 있다. 또한, 전통문화 중심의 금당문화대학을 12주간 운영하여, 광주 및 전남 지역의 문화유적답사를 진행한다. <출처: 한국관광공사>
좋아요 4
[전통문화]
광주광역시 동구문화원
좋아요 8
[전통문화]
광주광역시 동구문화원
지방문화원진흥법에 의하여 1997년 8월 개원한 순수 민간 문화단체로 전통문화를 계승, 보존하고 지역문화사회계발 및 향토문화진흥을 목적으로 설립된 비영리 특별법인이다. 현재 “향토...
지방문화원진흥법에 의하여 1997년 8월 개원한 순수 민간 문화단체로 전통문화를 계승, 보존하고 지역문화사회계발 및 향토문화진흥을 목적으로 설립된 비영리 특별법인이다. 현재 “향토문화 알고, 찾고, 가꾸기”를 기치로 하여 전통문화의 파수꾼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또 이를 기반으로 한민족의 우수한 문화와 현대문화를 창달, 보존, 전승, 발전시키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하고 있다. *주요 사업 * 광주 동구문화원에서는 향토사료의 수집,보존,발표 및 민족문화 정체성 확립, 지역주민 자긍심 및 애향심 고취시키기 위해 지역(향토)문화 조사,연구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또한 우리문화의 세계화 및 관광 및 문화산업 창출을 모색하는 지역축제 개발, 육성 사업을 하고 있으묘 그 밖에 지역주민 문화의식 함양사업과 지역환경보존등 지역사회발전을 위한 문화활동을 펼치고 있다. <출처: 한국관광공사>
좋아요 8
[전통문화]
광주광역시 북구문화원
좋아요 5
[전통문화]
광주광역시 북구문화원
예로부터 광주는 예향, 미향, 의향이라 불리웠으며, 지금 광주에서는 예향 광주를 명실상부한 아시아문화중심도시로 만들기 위해 문화수도 조성사업을 통해 문화산업 인프라가 대폭 확대되고...
예로부터 광주는 예향, 미향, 의향이라 불리웠으며, 지금 광주에서는 예향 광주를 명실상부한 아시아문화중심도시로 만들기 위해 문화수도 조성사업을 통해 문화산업 인프라가 대폭 확대되고 있다. 북구는 광주에서 가장 많은 인구와 넓은 면적을 가지고 있으며, 광주의 역사와 문화를 촘촘히 새겨 놓은 광주 역사문화의 생생한 지도라고 할 수 있다. 광주의 역사와 전통을 바탕으로 출범한 광주북구문화원은 매년 음력 삼월 삼지 날 화전부치기와 민속놀이 경연, 무드리국악경연대회, 가족사랑 그리기 글쓰기대회, 민속놀이 체험마당, 문화역사유적지 탐방, 가족단위의 창작(애송)시 낭송대회 등 다양한 장르의 참여형 문화 행사를 개최하여 지역주민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고 문화향수를 고양하기 위해 최선의 노력을 다하고 있다. * 문화 프로그램 * 문화학교 지정을 통한 예산 확보로 다양한 전통 문화 예술교육프로그램을 실시하며 정기적인 사회교육강좌를 통한 어린이에서부터 노인에 이르기까지 우리의 다양한 문화 장르를 교육하고 있으며 아울러 우리 문화 지킴이 교육을 통해 우리 지역의 역사와 문화를 올바르게 이해하도록 노력하고 있다. (가족과 함께하는 화전부치기와 민속놀이, 무드리 국악대회, 가족사랑 그리기 글쓰기대회, 참여하는 민속놀이 체험 마당, 문화역사 유적지탐장, 사회교육강좌, 우리문화지킴이, 가족창작(애송)시 낭송대회, 무등문화 발간 등) <출처: 한국관광공사>
좋아요 5
[전통문화]
광주전통문화관
좋아요 81
[전통문화]
광주전통문화관
전통문화관은 남도의 자랑스러운 전통문화를 보존, 전수하는 법고창신法古創新의 공간이자 함께 만들고 배우는 창작공방(創作工房) 이다. 무등산 국립공원 초입에 위치한 전통문화관은 201...
전통문화관은 남도의 자랑스러운 전통문화를 보존, 전수하는 법고창신法古創新의 공간이자 함께 만들고 배우는 창작공방(創作工房) 이다. 무등산 국립공원 초입에 위치한 전통문화관은 2012년 전통한옥 무송원撫松院을 이설, 복원해 조성하고, 무형문화재 작품전시관과 전수실 및 서석당, 입석당, 너덜마당 등의 문화공간이 있다. 시민 누구나 즐길 수 있는 주말상설공연(토요상설공연, 무등풍류뎐), 무형문화재 대시민 교육인 전통문화예술강좌, 내외국인 관광객 및 청소년을 위한 전통문화예술체험, 공예 및 전통음식 체험 등의 친환경적 프로그램, 그리고 무등산 문화자원을 기반으로 한 특별기획프로그램과 무등산권 활성화를 위한 10월의 무등울림 축제를 진행하고 있다. 아름답고 넉넉한 무등의 품속에서 우리의 옛것을 보고 배우며 즐길 수 있는 전통문화관이다. 무등산권 유네스코 세계지질공원과도 연계 관광이 가능하다. <출처: 한국관광공사>
좋아요 8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