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 예술의 거리 프로그램 운영(어여쁘다 궁동)
관리자 , 2017-03-24 11:24
조회 3614
2017 예술의 거리 프로그램 운영(어여쁘다 궁동)



● 운영개요
- 운영기간 : 2017. 4. ~ 10월
               매주 토요일 14:00∼19:00
    ※ 야외에서 진행되는 관계로 7~8월 무더위에는 휴장
- 장소 : 예술의 거리 일원
- 규모 : 총 22회 운영, 66천명(회당 3,000명) 이상 관람 예상
- 운영내용 : 예술체험프로그램, 공공미술사업(아트로드, 이색벽화 조성 등), 주민네트워킹 사업(상인영어 교육 등)
- 운영단체 : 다정다감(대표 조현희)

● 예술의 거리 현황 

-예술의 거리 지정 : ‘87. 7. 8 (확대지정 ‘10. 12. 1)
-거리구간 : 603m
   · 기존지정 : 중앙초교 입구~동부경찰서(기존 300m)
   · 확대지정 : 카톨릭센터~중앙초교 후문(303m)
- 입주업체 : 180업체(화랑 16, 필방 19, 화실․서예원 5, 공방 12 등)
- 시설현황 : 갤러리 1, 예술극장 1, 야외무대 1, 조형물 18, 벤치 25 등

● 주요 프로그램
  ◆ 중점추진 사항
   - 자립기반 조성 프로그램 운영 (상인영어 교육 등 주민네트워킹 사업)
   - 특색있는 볼거리 조성(이색벽화 조성, 아트로드 등 공공미술 사업)

◆  주요 프로그램 내용
 - 체험 프로그램 운영 :
   · 新궁동유람(예술의 거리 탐방), 궁동예술체험, 예술심리치료 ‘파란물감’, 궁동아트마켓, 궁동에온예술가(이색공연)
 -  공공미술사업 :
   · 아트로드 조성, 이색벽화 조성, 예술의 거리 입구간판 설치
   · 로드카페형 쉼터 조성 ‘파라솔 카페’
 - 주민네트워킹 사업
   · 상인영어 교육, 주민간담회
 
● 2017 예술의 거리 프로그램 세부내용
 
구분 프로그램명 내용 참고
축제
프로그램
(5) 
新궁동유람 ▸예술의 거리 대표 상가(10개소) 대상 체험과 스템프 투어
▸상인․진행요원 20여명 참여(회당)
▸갤러리, 화방, 골동품상, 포토존 등 활용
∙지속사업
∙스템프 미션 성공시
기념품 증정
 
궁동예술체험 ▸예술의 거리 상가 참여 예술체험
▸상인․진행요원 80여명 참여(회당)
▸만들기, 그리기, 전통놀이 등 40가지 체험
∙지속사업
∙무료체험
예술심리치료
‘파란물감’
▸예술(미술, 종이접기)을 활용한 심리상담
▸전문 상담사․진행요원 약5명 참여(회당)
▸미술심리치료, 종이접기+칵테일심리치료
∙지속사업
∙무료체험
궁동아트마켓 ▸예술상인과 시민들을 연결해 주는 예술장터
▸예술상인․진행요원 80여명 참여(회당)
▸공예품, 방향제, 먹거리 등 40가지 상점
∙지속사업
∙예술상품 판매 및 유료체험
궁동에 온 예술가 ▸예술의 거리 중앙 무대에서 행해지는 공연
▸전문공연단․진행요원 30여명 참여(회당)
▸악기연주, 노래, 연극, 행위예술 등 공연
∙지속사업
∙무료공연
(1회당 5팀,총110팀공연)
공공미술
사업(4)
 
아트로드 조성 ▸예술의 거리를 기하학적무늬로 꾸밈
▸전문작가 김성결 작가 참여(4∼5월)
▸기하문양, 단청문양 등 4~5곳 조성
∙신규사업
(예술로) 일원
이색벽화 조성 ▸예술의 거리 벽면을 트릭아트벽화로 꾸밈
▸전문작가 최재영 작가 참여
- 4∼5월, 9~10월 작업 진행
▸명화 기반 트릭아트벽화 4~5곳 조성
∙신규사업
(예술로) 일원
입구간판 설치 ▸예술의 거리를 알릴 수 있는 간판 설치
▸전문작가 참여(4∼5월)
∙신규사업
∙동부서 맞은편 
쉼터 조성 ▸유럽식 파라솔 쉼터 조성(7~8월
▸갤러리 봄, 몰랑몰랑 공방 앞 등 4~5곳 조성
∙신규사업
∙대상지 상인들과 협의 후
최종선정
주민네트
워킹사업
(2)
상인영어교육 ▸주민자립기반마련 상업용 영어회화교육
▸전문 영어회화강사 진행
- 상반기(15회) : 4∼7월 매주 수 19~20시
- 하반기(15회) : 8∼11월 매주 토 19~20시
▸각 기수별 20명씩 40명 예술의 거리 상인․주민 대상
∙신규사업
∙무료교육
주민간담회
(차 없는 거리 서명운동)
▸사업단과 예술의 거리 상인들과의 연결통로
▸예술의 거리를 차 없는 거리로 만들기 위한 예술의 거리
상주 상인․주민 서명운동 병행
- 간담회 : 3∼11월 매월 1회 진행
- 서명운동 : 4∼11월 수시진행
∙신규사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