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HOME
광주시청
모바일북
LANGUAGE
English
中文
日本語
전체메뉴
검색
HOME
광주시청
모바일북
LANGUAGE
English
中文
日本語
전체메뉴
광주는
광주는
광주는 지금
문화캘린더
이달의 축제
유네스코3관왕
5.18민주화운동 기록물
무등산권 지질공원
미디어아트창의도서
오매광주(BI)
오매광주(BI)소개
오매나 캐릭터
광주관광 아이콘
웹툰광주
내이름은광주
광주맛기행
특별한광주
광주사람이야기
공정여행이란
360VR광주
사진받기
오매광주
오매광주
오매낭만(藝)
미술관
박물관
공연장
전통문화
광주폴리
문화시설지도
오매불망(義)
5.18/광주학생운동
사찰/기독교
선비문화
전통가옥/근대건축
문화유산
오매맛나(味)
광주대표음식
주먹밥스토리
광주역대맛집
오매신나(興)
광주의 꽃.축제
체험장
캠핑장
유원지
스포츠/기타
오매가득(情)
자연
마을
거리
도시근린공원
맞춤여행코스
맞춤여행코스
테마별 코스여행
여행별 맞춤코스
역사·문화
마을거리
이색체험
무장애여행
현지인 추천관광
도보여행
하위메뉴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광주야행
광주의 밤
광주야시장
가심비여행
해설사관광
스탬프투어
웰니스관광
핫플레이스
카페
식당
체험장
포토존
음식·쇼핑·숙박
음식·쇼핑·숙박
음식
한식
양식
일식
중식
기타
음식의 거리
쇼핑
전통시장
플리마켓
관광기념품
숙박
관광호텔·호스텔
외국인전용민박
한옥스테이
템플스테이
크린업소지정현황
여행정보
여행정보
시티투어버스
광주시티투어버스
남도패스
소개
온라인구매
여행자플랫폼
소개
여행자플랫폼
관광길라잡이
관광안내소
관광해설사안내
1330전화안내
관광홍보물
모바일북
교통안내
버스
지하철
항공
열차
커뮤니티
커뮤니티
공지사항
하위메뉴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자주 묻는 질문
하위메뉴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불편신고
하위메뉴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여행일정만들기
여행코스짜기
여행일정공유
여행후기
하위메뉴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Close
Facebook
Instagram
Blog
Youtube
오매가득(情)
HOME
오매광주
광주는
오매광주
맞춤여행코스
음식·쇼핑·숙박
여행정보
커뮤니티
이용안내
오매가득(情)
오매낭만(藝)
오매불망(義)
오매맛나(味)
오매신나(興)
오매가득(情)
마을
자연
마을
거리
도시근린공원
오매광주
오매낭만(藝)
오매불망(義)
오매맛나(味)
오매신나(興)
오매가득(情)
자연
마을
거리
도시근린공원
'게시판명' 검색
총
7
건
전체
제목
내용
[마을]
양림동 펭귄마을
좋아요 164
[마을]
양림동 펭귄마을
양림동 주민 센터 뒤에 펭귄모양의 이정표를 따라 좁은 골목길을 들어가면 70, 80년대 마을이 전시장으로 변모하고 있다. 무릎이 불편한 어르신이 뒤뚱뒤뚱 걷는 모습이 펭귄 같다고 ... 양림동 주민 센터 뒤에 펭귄모양의 이정표를 따라 좁은 골목길을 들어가면 70, 80년대 마을이 전시장으로 변모하고 있다. 무릎이 불편한 어르신이 뒤뚱뒤뚱 걷는 모습이 펭귄 같다고 하여 이름 지어진 마을. 마을 주민들은 과거에 화재로 타 방치되어 있던 빈집을 치우고 버려진 물건을 가져 와 동네 벽에 전시하기 시작했다. 마을 담벼락 에는 ‘그때 그 시절 살아있음에 감사하자’ 고 새겨 놓았다. 마을 한가운데 있는 펭귄 주막은 주민들의 사랑방, 조그맣지만 필요한 물건들이 다 있다. 공방 앞에는 마을 소식지도 붙어 있다.
좋아요 164
[마을]
양림펭귄마을 BTS제이홉 벽화
좋아요 10
[마을]
양림펭귄마을 BTS제이홉 벽화
양림동 양림펭귄마을 협동조합이 운영하는 펭귄빵카페 옆 골목길 벽에 세계적인 팝아티스트로 성장한 BTS 제이홉의 벽화가 새로 그려져 있다. BTS 중국팬들이 제이홉의 생일을 맞이하여... 양림동 양림펭귄마을 협동조합이 운영하는 펭귄빵카페 옆 골목길 벽에 세계적인 팝아티스트로 성장한 BTS 제이홉의 벽화가 새로 그려져 있다. BTS 중국팬들이 제이홉의 생일을 맞이하여, 제이홉의 고양인 광주에서 관광지로 유명한 양림동 벽화마을에 준비한 이벤트로 만들어 졌다. 이제 양림동의 새로운 핫플레이스로 각광 받을 것으로 생각되며, 제이홉 벽화 옆에 서서 인증사진을 찍는 방문객들로 붐빌것으로 보인다.
좋아요 10
[마을]
양림동역사문화마을
좋아요 53
[마을]
양림동역사문화마을
다양한 근현대 건축물과 100년이 넘는 거목이 즐비한 숲을 이루는 양림동은 역사와 건축, 문화예술박물관이다. 양림동은 일제강점기 선교사들이 교회를 열고 학교와 병원을 세워 '광주의... 다양한 근현대 건축물과 100년이 넘는 거목이 즐비한 숲을 이루는 양림동은 역사와 건축, 문화예술박물관이다. 양림동은 일제강점기 선교사들이 교회를 열고 학교와 병원을 세워 '광주의 예루살렘', ‘서양촌' 이란 별칭이 따른다. 당시에 만들어진 기독교유적과 우리네 전통문화 유적이 좁다란 골목을 따라 오롯이 남아 있다. 민속길 을 따라 내려오면 최승효 가옥과 이장우 가옥 등 전통가옥들이 즐비하다.
좋아요 53
[마을]
청춘발산마을
좋아요 79
[마을]
청춘발산마을
발산마을에서 광주천 건너편에는 1970년대 전남방직 공장이 있었다. 일자리를 찾아 전국에서 젊은이들이 모여 들었다. 비교적 저렴한 값에 집을 구하기 위해 그 들은 언덕을 올라 갔다... 발산마을에서 광주천 건너편에는 1970년대 전남방직 공장이 있었다. 일자리를 찾아 전국에서 젊은이들이 모여 들었다. 비교적 저렴한 값에 집을 구하기 위해 그 들은 언덕을 올라 갔다. 마을 주민들이었던 여공들의 안식처는 산업구조가 바뀌면서 빈집이 늘어갔다. 주변에 사원아파트가 들어서고 대규모 임대 아파트가 생기면서 다른 원주민들도 마을을 떠나갔다. 꿈을 찾아온 이들에겐 낯선 땅인 조그만 달동네 발산마을에 떠 있던 ‘별’은 고향을 떠올리고, 고단함을 이겨내고, 내일에 대한 희망을 다짐하는 상징이었다. 젊은 예술가들은 시간이 멈춘 발산마을 골목길에 정원을 만들고 숨을 불어 넣기 시작했다. 광주천과 마을 사이에 공사장에서 쓰던 철재로 뽕뽕 브릿지라는 다리도 만들었다. 신호윤, 최윤미 작가가 만든 이 다리는 예술을 통해 다양한 사람과 생각을 연결하는 상징성을 갖는다. 마을 입구의 벽화 ,버려진 땅을 다듬어 만든 텃밭, 마을 곳곳의 조형물들로 인해 마을 전체는 갤러리다. 청년들이 마을에 들어와 살아보게 하자는 공공 미술 레지던스 사업을 진행 하는 청춘빌리지를 방문하면 마을 답사와 주민 집밥먹기 등의 마을 체험과 매달 열리는 국내외 작가의 전시회에 대한 안내도 받을 수 있다.
좋아요 79
[마을]
발산명동벽화거리
좋아요 1
[마을]
발산명동벽화거리
청춘청춘발산마을 어르신들의 사랑방인'샘몰 경로당'의 숨은 이야기가 벽화로 새롭게 그려졌다. 108계단 입구쪽으로 내려가는 입구에서 시작되는 200m가량 이어지는 청춘발산명동벽화거리... 청춘청춘발산마을 어르신들의 사랑방인'샘몰 경로당'의 숨은 이야기가 벽화로 새롭게 그려졌다. 108계단 입구쪽으로 내려가는 입구에서 시작되는 200m가량 이어지는 청춘발산명동벽화거리이다. 청춘발산마을에 '샘몰 경로당'이라는 어르신 쉼터에서는 마을을 찾는 사람들에게 따끈한 가마솥 밥을 먹을 수 있도록 집밥 체험 행사를 운영하고 있다. 정성껏 지어진 가마솥 밥은 관광객들에게 인기가 좋다. 90년전 광주학생독립운동가들은 대부분 학생이었고, 그 때 아픔을 기억하며 따뜻한 밥 한그릇 나누고 싶은 마음으로 가마솥밥은 만들어 졌다. 광주학생독립운동과 발산마을 역사를 스토리텔링이 담긴 여려 이야기를 그림에 담아 재미있고 친근감 있게 보여주는 벽화거리이다.
좋아요 1
[마을]
서창향토마을
좋아요 20
[마을]
서창향토마을
서창향토문화마을은 뒤로는 백마산, 앞으로는 넓은 들과 극락강이 지키고 있는 전형적인 배산임수 지형의 촌락이다. 조선 중기 때 형성된 이 마을은 임진왜란 때 의병으로 활동했던 김세근... 서창향토문화마을은 뒤로는 백마산, 앞으로는 넓은 들과 극락강이 지키고 있는 전형적인 배산임수 지형의 촌락이다. 조선 중기 때 형성된 이 마을은 임진왜란 때 의병으로 활동했던 김세근 장군의 이름을 따 세동 마을이라 부르기도 한다. 본래 한옥이 남아 있는 전통마을이었으나, 2000년대 들어 전통문화와 농촌생활을 체험할 수 있는 전통문화체험마을로 조성됐다. 한편, 서창향토문화마을은 ‘만드리 풍년제’가 열리는 곳으로도 유명하다.
좋아요 20
first
prev
1
2
1
/
2
next
last